한국영화산업 투자환경 및 자본조달구조
지난 20년간 한국영화산업은 희망과 절망 사이를 극적으로 오르내렸다. 영화시장이 개방된 1980년대 말, 한국영화산업은 곧 붕괴될 줄 알았지만, 20년이 지난 지금 천만 관객 영화와 국내 시장 점유율 50%, 그리고 연 100편의 자국영화를 제작하는 세계 10위권의 영화강국이 되었다. 이러한 극적인 경험 때문에 2006년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영화산업의 수익성 위기국면을 바라보는 시각은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대기업과 금융자본의 진출이 시작된 때로부터 현재까지 20여 년간의 한국영화산업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 시기는 신경제 5개년 계획으로 시작된 “영화산업에 대한 준제조업 대우”라는 산업화 패러다임이 지배한 시기였다. 산업화 패러다임은 대기업 및 금융권의 투자를 유치하여 성장의 계기를 마련했지만, 동시에 영화산업으로 하여금 일반 제조업과 동일한 경쟁선상에 놓일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경쟁의 잣대는 바로 수익률이었다. 따라서 한국영화산업이 수익률 패러다임을 수용해 온 지난 20여 년간을 돌아보고 수익률 패러다임의 수용이 한국영화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다주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들이 최근에 불거진 ‘위기국면’과 구조적으로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머리말
요약문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본 연구의 구성
Ⅱ. 한국영화산업 투자환경 및 특성
1. 한국영화산업의 현황 및 구조
1) 시장규모
2) 투자 및 비용 규모
3) 수익률 및 수익구조
4) 기타 투자환경 : 배급 및 상영구조의 양극화
2. 한국영화산업의 투자구조 변화분석
1) 금융자본 유입 이전의 한국영화산업 투자 구조
2) 금융자본 유입 이후 투자주체의 다양화
3) 금융자본 유입 이후 투자주체간 역학관계의 변화
Ⅲ. 영상전문투자조합과 공적자금 투자
1. 영상전문투자조합의 성과 및 문제점
1) 영상전문투자조합의 개요
2) 영상전문투자조합의 전개
3) 영상전문투자조합의 성과
2. 평가 및 대안
Ⅳ. 해외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구조
1. 영화산업 자본조달구조의 보편성과 특수성
2. 유형 1 : 미국식 독립제작 자본조달구조
1) 지원금 및 보조금(Soft Money)
2) 지분투자(Equity)
3) 선 판매(Pre Sales)
4) 금융 대출(Gap Financing)
5) 기타 자본조달 방식들
6) 시사점
3. 유형 2 : 프랑스식 공적 지원 자본조달구조
1) 지상파 방송사 투자의무제도
2) 소피카(SOFICA)의 투자
3) IFCIC을 통한 대출지급보증
4) 직접 지원제도
5) 시사점
4. 유형 3 : 일본식 제작위원회 자본조달구조
1) 영화제작위원회
2) 투자조합
3) 유한책임사업조합(LLP)
4) 시사점
Ⅴ. 질적 성장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위한 과제와 전략
1. 한국영화산업의 과제
2. 정책적 대안
1) 패러다임의 이동 :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으로
2) 공공 지원정책의 역할
부록 1. 한국영화산업 주요 연표 1482. 한국영화 주요 지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