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한국영화산업 투자환경 및 자본조달구조

한국영화산업 투자환경 및 자본조달구조

저자
출판사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일
2009-01-29
등록일
2009-01-29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3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지난 20년간 한국영화산업은 희망과 절망 사이를 극적으로 오르내렸다. 영화시장이 개방된 1980년대 말, 한국영화산업은 곧 붕괴될 줄 알았지만, 20년이 지난 지금 천만 관객 영화와 국내 시장 점유율 50%, 그리고 연 100편의 자국영화를 제작하는 세계 10위권의 영화강국이 되었다. 이러한 극적인 경험 때문에 2006년부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영화산업의 수익성 위기국면을 바라보는 시각은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대기업과 금융자본의 진출이 시작된 때로부터 현재까지 20여 년간의 한국영화산업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 시기는 신경제 5개년 계획으로 시작된 “영화산업에 대한 준제조업 대우”라는 산업화 패러다임이 지배한 시기였다. 산업화 패러다임은 대기업 및 금융권의 투자를 유치하여 성장의 계기를 마련했지만, 동시에 영화산업으로 하여금 일반 제조업과 동일한 경쟁선상에 놓일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경쟁의 잣대는 바로 수익률이었다. 따라서 한국영화산업이 수익률 패러다임을 수용해 온 지난 20여 년간을 돌아보고 수익률 패러다임의 수용이 한국영화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다주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들이 최근에 불거진 ‘위기국면’과 구조적으로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