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쩌다 런던에서
아무것도 남지 않을 뻔 했던 2021년의 따뜻한 동거 기록
런던에서 외국인 노동자로서의 삶을 시작한 여자와 유학생으로서의 삶을 시작한 여자, 두 사람은 인생에 꼭 한 번은 런던에서 살고 싶었다. 야심차게 시작한 그들의 2021년은 코로나를 만나 록다운과 재택근무, 재택학습으로 점철되어 아무것도 추억할 것이 없는 무미건조한 1년이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두 사람이 “우리 같이 살까?”라는 농담 같은 진담으로 시작한 동거로, 2021년은 잊지 못할 한 해가 되었고 서로에게 오래 기억될 선물이 되었다. 때로는 한 끼 한 끼 밥 ‘해’먹고 사는 것이 전부인 삼시세끼 리얼리티를 찍기도 하고, 가끔은 일, 사랑, 꿈에 대해 논하며 알쓸신잡 같은 예능을 찍기도 했다. 함께 보낸 시간은 9개월이지만 그 시간 동안 나눈 이야기는 각자의 지나온 40년과 앞으로의 40년이 담겨 있기에 이 책은 두 사람의 인간극장 같은 인생 다큐일지도 모른다.
어제도 내일도 아닌 오늘을 열심히 살아가는 모두를 위한 응원과 위로
팬데믹 시대에 뜻대로 되지 않는 인생을 마주했지만 오늘을 열심히 살고 있는 두 사람이 스스로를 돌아보며 쓴 글로 책의 후반부를 구성했다. 외국인 노동자와 유학생으로서 살며 느낀 삶과 직업을 대하는 기준과 가치들은 세상의 진리는 아니지만, 오늘을 사는 어른이들에게 던지는 질문일지 모른다. 직업과 직장이 주는 의미, 배움과 세상의 변화를 대하는 태도 등 두 사람의 고민 속에서 놓쳤던 혹은 잊었던 것들을 떠올릴 수 있지 않을까? 또한, 두 사람이 각자 런던에서 만난 사람들로부터 느낀 삶과 사람에 대한 자세는 런던에서의 삶을 버티게 해준 응원과 위로가 되었다. 누구의 삶도 녹록치 않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독자들에게도 그들의 이야기가 따뜻한 토닥임으로 21년의 마지막 선물이 될 것이다.
여행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런던이 아닌 삶의 현장, 런던의 오늘을 담은 런던 생존기
책의 곳곳에는 여행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런던이 아닌 삶의 현장 런던, 런던의 오늘이 담겨져 있다. 함께 살 집을 얻어 이사하고, 장을 봐서 밥을 해 먹고, 지하철을 타고 공원을 걷는 보통의 나날들 속에서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런던의 모습을 담았다. 유명한 관광지를 함께 여행하는 특별한 추억을 전할 수는 없지만, 애정과 애증의 시선으로 풀어낸 런던의 오늘을 담았기에 다시 여행이 가능해지고 세계 어느 도시에서 한 달 살기를 하고 싶냐고 물을 때 ‘런던!’이라고 답할 이들에게는 생생하게 전해질 것이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계(천문학 전공), KAIST 경영대학원 졸업. 하늘을 동경하여 천문학을 전공했지만 HR을 업으로 삼았고, 민간 기업 인사팀을 거쳐 현재는 공무원이다. 여행과 공연을 좋아하고, 산책과 음주를 즐기는 사람. 매 순간 심장이 쿵쾅거리고 흥미진진한 삶을 살고 싶은 마음을 간직한 채, 대체로 긍정적으로, 그리고 아주 평범한 보통의 삶을 살고 있다.
프롤로그
1장 우리 같이 살까?
우리 같이 살까?
랜선으로 집 보는 세상
이사 그리고 신고식
식구가 생겼습니다
2장 먹고 사는 이야기
런던 삼시세끼
먹을 줄 모르네
세 번은 잦고 두 번은 아쉬운
맑은 날, 테라스, 오픈 10분 전
아플 땐 플랫화이트
3장 동상이몽 동거 라이프
유진 minus 맹장
나만 개 없어(도 괜찮아)
마흔 살의 Zoom 놀이터(일터)
윔블던 유감
4장 영국의 외국인 노동자
꿈이 이루어지다
영국의 외노자
에어비앤비 스토리
이 길의 끝
5장 유학생 in 런던
시간? 아니면 공간?
다시 학생이 되어 보니
형광펜과 애플펜슬
영어 에세이, 너란 녀석
6장 영국에서 만난 사람들
꿈과 사랑을 좇는 크리즈
나의 아저씨 렌
알고 보면 따뜻한 바즐레이 교수님
안달복달 V와 여유만만 C
7장 알아두면 쓸데없는 영국 잡학사전
런던에서 집 구하기
런던에서 이사하기
오이스터 카드의 비밀
셰익스피어 머리 앞에서 만나
당신을 기억합니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