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 전망 2005
2005년엔 경제가 조금 좋아질까? 이 책은 삼성경제연구소가 2005년에 전개될 국내외 경제, 산업, 기업경영, 공공정책, 사회·문화 분야의 전체 조감도를 개관하고 40여 개의 핵심 이슈들을 분석한 책이다. 단순히 경제지표나 표면적 현상만을 나열한 것이 아니라 현상 배후의 의미와 구조적 트렌드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경제의 경우 2005년은 2004년보다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대내적으로는 가계부채 조정과 소비심리 위축, 서비스업의 활력 저하와 청년실업 문제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대외적으로는 달러화 약세, 국제유가 불안, 세계 IT 경기 둔화 등이 위험요인이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세계경제도 마찬가지로 2004년보다 성장세가 꺾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삼성경제연구소 경제동향실 연구위원
책을 펴내며
2005년 전망 기조
1 세계 경제
01 세계 경제 성장 둔화
02 미국 부시 행정부 2기의 경제 · 통상 정책
03 중국 경제의 연착륙
04 일본 경제 회복세 유지
05 WTO 체제정비 노력 가속화
06 고유가 지속
2 국내 경제
01 미미한 소비회복세
02 투자회복세 약화
03 수출 증가세 큰 폭 둔화
04 물가는 3% 초반대로 하향 안정
05 일자리 창출 미흡과 청년취업난 지속
06 달러화의 위상 약화와 위안화 평가절상
07 저금리 현상 지속
08 은행의 수익성 악화
09 지속되는 신용불량자 문제
10 금융산업의 재편과 외국 금융자본과의 경쟁 심화
3 산업
01 조정기에 접어든 정보통신산업
02 공급 과잉이 예상되는 반도체산업
03 성장세가 둔화될 가전산업
04 수출 둔화가 예상되는 자동차산업
05 호조세가 기대되는 석유화학
06 충분한 일감을 확보한 조선산업
07 업태별로 명암이 갈리는 유통산업
08 건설 수주 감소와 주택경기 위축
09 한류 열풍의 확산
10 협상 타결이 예상되는 한 · 일 FTA
4 기업경영
01 한국 대표기업의 약진과 도전
02 기업경영에 대한 견제 및 간섭 강화
03 기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04 소비시장별 부침 심화
05 유통 · 제조 간 힘겨루기
06 한 · 중 · 일 간 경쟁과 협력
5 공공정책
01 부동산 정책 : 지속적 안정기조 및 보유세 부담 증가
02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전환
03 노동시장의 개혁과 노사정 갈등
04 퇴직연금제 도입과 연금구조 개편
05 WTO 쌀 재협상과 농업구조 개편
06 북핵 문제 장기화와 남북관계
6 사회 · 문화
01 고령화의 급격한 진전
02 사회갈등의 일상화
03 대학 개혁 및 자율권 강화
04 소비자 안전의 강화
05 교토의정서 발효와 환경규제 강화
홍순영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