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브레이스가 들려 주는 경제학의 역사 - 책벌레 좋은 책 8
「불확실성의 시대」로 유명한 미국의 경제학자 갤브레이스의 경제학론. 저자가 이 책에서 일관되게 주장하는 주요 관점은 '경제학이나 경제 사상은 그것이 탄생한 시대와 사회 반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학설 자체는 핵심만 간략하게 제시하고 그 배경이 되는 경제적·사회적 상황, 여러 집단간의 이해와 대립 관계 등에 상당한 지면을 할애한다.
또한 저자는 모름지기 경제학이란 늘 변화하는 사회 현상들에 신속히 부응해야 하며, 경제학의 역사 또한 철저히 현재적 관점에서 조명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이 책은 전문 경제학자가 아닌 사람들의 경제적 주장과 논쟁, 예컨대 19세기 미국의 관세 논쟁과 화폐 논쟁 등을 모두 아우르고 있다.
저자가 이 책에서 보여주는 경제학론은 현실 적용이 가능한 살아있는 이론이다. 주류파 근대 경제학의 문제점과 비판적 정치경제학의 한계를 생각할 때 이 책은 한국 경제의 난관을 올곶게 분석하고 대응해나갈 수 있는 하나의 열쇠로 기대해볼 만하다.
1908년 캐나다에서 태어났으며,토론토 대학, 캘리포니아 대학과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수학했고, 1934년 이후 하버드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정부 관직을 맡기도 했으며, 케네디 대통령 때는 인도 대사를 지냈다. 1967~68년 '민주적 행동을 위한 미국인 모임'(Americans for Democratic Action) 전국 의장직을 맡았고, 1972년에는 미국경제연합회 회장이 되었다. 지은책에「미국의 자본주의: 길항력 개념」「1929년 대공황」「풍요한 사회」「새로운 산업국가」「불확실성의 시대」「The Anatomy of Power」「우리 시대의 삶:회고록」등이 있다.
1. 개관
2. 아담 이후
3. 오랜 중간기
4. 상인과 국가
5. 프랑스적 구상
6. 애덤 스미스의 새로운 세계
7. 세련, 긍정, 반란의 씨앗
8. 위대한 고전적 전통(1) - 주변에 있는 경제학자
9. 위대한 고전적 전통(2) - 주류에 있는 경제학자
10. 위대한 고전적 전통(3) - 신앙을 옹호한 경제학자
11. 대공세
12. 화폐의 독자성
13. 미국적 관심 - 무역, 독점, 부호
14. 완결과 비판
15. 대공황의 원동력
16. 복지국가의 탄생
17. 존 메이너드 케인스
18. 군신 마르스의 보증
19. 절정기
20. 황혼과 만종
21. 미래로서의 현재(1)
22. 미래로서의 현재(2)
본무의 주
찾아보기
옮긴이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