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견으로서의 소설기법
고려대 송하춘 교수가 가르치는 '발견으로서의 소설기법'. 소설의 개념 소개로 부터 시작하여 모티브, 구상, 인물의 성격형성과 사건전개, 서술전략, 이야기와 상상력, 소설의 시간과 현실의 시간차이, 습작 소설과 이미지 등을 예문과 함께 상세히 논하였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소설『한번 그렇게 보낸 가을』이 당선되고, 이후 같은 제목의 단편집과『은장도와 트럼펫』『호박꽃 여름』,『하백의 딸들』 그리고 장편『거슬러 부는 바람』을 썼다. 소설을 가르치고 또 쓰기를 계속하고 있다.
1. 쓰기와 가르치기 ...1
2. 착상과 집필 ...31
3. 인물과 사건 ...53
4. 습작 - 전통과 실험 ...69
5. 이야기와 상상력 ...127
6. 습작 - 동화적 상상력 ...139
7. 시간과 인과 ...201
8. 습작 - 소설과 이미지 ...229
9. 서술 시점과 거리 ...261
10. 습작 - 글쓰기와 메타픽션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