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 독립을 넘어서
「한국인에게 문화가 없다고?」「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등의 저서로 한국문화에 대한 꾸준한 탐색과 논의를 펼쳐내고 있는 저자 최준식 씨가 이번에는 한국문화에 스며있는 미국적 요소에 대한 방담을 풀어놓았다.
정치나 경제적 측면보다 겉으로 부각되지는 않지만, 우리의 생활과 정신 속에 깊숙이 자리잡은 문화적 종속은 더 무섭고 치밀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자는 거대담론이 아닌, 일상생활 속으로 파고들어 우리 주변을 구체적으로 지적함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미국문제를 보여준다. 저자의 기존 저서들이 이론적 기반을 두고 쓴 글이라면, 이번에는 말그대로 방담, 술자리에서 동료와 이야기하듯 편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9.11 사태와 '악의 축' 발언, 그리고 동계올림픽 이후 우리에게 미국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이 새삼 높아가는 이때, 우리 속에 스며든 미국을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또, 외래문화의 비판적 수용과 한국 사회의 탄탄한 문화 인프라를 그 대안으로 제시하는 저자의 의견 또한 귀기울여 새겨볼 필요가 있다.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템플 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종교학)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한국학회 회장과 한국문화표현단 단장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한국인에게 문화가 없다고?』,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1,2』,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등이 있다.
책을 내면서
1장 미국 문화에 대한 종속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기를 기원하며
미국이 주인 국가처럼 돼가던 내 어릴 때의 아주 개인적 체험
조상들의 이유 있는 향변
2장 한국인들의 웃기지도 않는 영어 사대열
우리말이나 잘하고 그 다음에 영어를…
영어 남용에 앞장서는 젊은 연예인들 '개그'니'콘서트'니 하는 것들
노랑머리 유감
이른바 '탈북자'들은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볼까?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기괴무쌍한 영어 표현들
(이하생략)
3장 스포츠에서 보이는 희한한 미국화 현상
한국에 만연한 미국적 운동 경기
박찬호 신드롬에 부쳐
미국인들의 이상한 운동 경기관
축구가 인기 없는 미국-미국의 선민 의식
이젠 운동도 주체적으로 생각하면서 하자!
동서양의 서로 다른 몸쓰기
4장 문화 생활과 일상 생활에서 보이는 한국인들의 서양화 현상
서초동 '예술의 전당'앞에 지나가며
황병기 선생의 '신촌의 어느 개'이론
국악의 서양화 바람1-'개량'악기 유감
국악의 서양화 바람2-창작과 유감
불교나 원불교 음악의 서양화 바람
(이하생략)
5장 성역 중의 성역, 종교의 영역으로 들어가며
해인사 미스터리
너무나 하기 힘든 종교 이야기
다시 주제로 동아가며-기이한 우리나라 기독교 현상
정말로 경이로운 한국 천주교
세계 기록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한국 개신교
(이하생략)
7장 미국 뉴욕 무역센터 테러 사건에 즈음하여
뒤늦게 짚어보는 이 사건의 원인-근인으로서의 이스라엘 건국
드디어 건국되는 이스라엘
유태인들의 단결력과 그 명암
이번 사태의 근본적 이유에 대하여
이슬람교와 기독교는 왜 그렇게 서로 으르렁댈까?
(이하생략)
8장 새로운 문화의 창출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