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역사
옥스퍼드 대학에 머물던 어느 날, 나는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J. 머리 교수에게 피폐해진 20세기 대학을 구할 수 있는 방도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는 담백하게, 다소 의외로 '수도원 정신의 회복'이라고 답했다. 그의 본뜻은 어느 종교를 대변하려는 것이 아니라 근본으로 돌아가자는 얘기일 것이다. 우리는 지금 근본으로부터 너무 멀어지고 있다. 중세의 대학은 오늘을 있게 한 정신과 제도의 본질이다.
오늘날 대학이라는 정신의 집을 다시 짓기 위해서는 당시의 대학이 성취하려고 했던 열망, 즉 진리추구의 열정과 지혜에 대한 사랑, 참인간 교육에 대한 지속적 애정을 다시 회복해야 한다. 학문과 양심의 자유! 중세대학이 지향했던 이 이상과 목표는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청조는 자유 속에서만 올바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은 무엇이며 무엇이어야 하는가? '' 십자군 운동과 그리스 고전의 부활을 계기로 유럽 중세사회의 견고한 틀이 붕괴하기 시작한 12세기에 유럽의 곳곳에 생겨난 대학은 학문의 중심지가 됐다. 초기부터 대학은 국왕과 교황이라는 권위에 저항하는 자치구였으며 그 구성원들은 학문과 사상의 자유를 얻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지은이는 격렬하게 변화하는 역사 속에서 수많은 대학들이 어떤 구실을 했는지 자세한 예를 들어가며 설명한다.
경희대, 미국 에이드리언대학, 일리노이대학 대학원에서 공부했으며 옥스퍼드대학 사학과 연구교수, 총신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현재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서양사)로 있으며 영국왕립 역사학회 해외펠로, 옥스퍼드 대학 중세사학회회원, 대학사연구회 이사, 미술평론가협회 회원이기도 하다. 저서로는「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의 교육사상과 미론」「세계의 역사와 문화」(공저),「기독교사관과 역사의식」(편저),「예술혼을 사르다 간 사람들」「역사의 들길에서 내가 만난 화가들」등을 비롯하여 다수의 역사와 논문이 있다.
머리말
PREFACE
제1장 대학의 형성 원인은 무엇인가
제2장 대학 형성기의 조건과 환경
제3장 코뮌과의 대립 속에서 성장한 볼로냐 대학
제4장 파리 대학, 학문 태동의 중심지
제5장 파리 대학, 도전과 응전
제6장 자기 방식을 찾아간 옥스퍼드 대학
제7장 대학의 구성체와 운영
제8장 입학, 교과 과정과 학위 취득
제9장 중세의 지성, 대학현실, 그리고 사회진출
제10장 중세 후기 대학환경의 변화
제11장 중세대학의 현재적 의미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