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어사전 5
좌우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오로지 문학으로 세상을 이야기하려 했던 '자유인' 나림 이병주 선생
마흔네 살 늦깎이로 문단에 데뷔해 1992년 타계하기까지, 짧은 집필 기간 동안 80여 권의 방대한 작품을 남긴 이병주 선생. '한국문학의 위기'를 말하는 오늘날, 한국이 낳은 가장 뛰어난 이야기꾼인 이병주 선생의 문학 세계를 다시 만난다.
(1921∼1992)
소설가. 경남 하동 출생. 일본 메이지(明治) 대학 전문부 문예과 졸업. 진주농대·해인대·동아대 교수 역임. 「국제신보」주필 겸 편집국장 역임. 1965년, 월간 「세대(世代)」에 「소설·알렉산드리아」를 발표함으로써 작가 활동을 시작. 1975년 장편 「낙엽」으로 한국문학작가상 수상. 1977년 「망명의 늪」으로 한국창작문학상 수상. 저서로 장편 「허상과 장미」 「배신의 강」 「관부연락선(關釜連絡船)」 「지리산」등이 있음.
결혼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혹시 이혼하기 위한 수속이 아닐는지
나 혼자만의 나, 그로써 충분하다고 코르네유는 말했는데
마음속에 음악을 가지지 않은 자는 바보가 아니면 악인이다
장미가 있다. 여기에서 춤춰라
너무도 생각할 것이 많아서 나무는 침묵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엔 의지가 있을 뿐 윤리는 없다
풀잎이 떨었다. 독사가 스쳐간 자리?
창세기의 기록이 정확하다면 이브는 문명의 어머니, 뱀은 역사의 시원이 된다
월천심 아시아의 가을을 다스리도다
아아, 육은